본문 바로가기

영어 정복하기

영어 문법입문<수일치>

영어 문법문제 중에서 빈도가 높은 편인 수일치 부분입니다. 보통 주어가 단수이고 3인칭일 때 동사가 현재형이면 그 동사 부분에 's'를 써주어야 합니다. 간단한 형식이지만 주어와 동사를 멀리 떨어뜨려 놓을 때 혹은 주어가 두개일 경우 어디에 수일치를 맞추어야할 지 그 부분이 많이 헷갈립니다. 하지만 우리는 수없이 영어공부를 해왔기 때문에 동명사,to부정사가 단수로 취급 된다는 것, 그리고 here,there가 문두에 올 경우 동사 뒤에 오는 부분에 수 일치를 시켜야 한다는 것은 너무나도 잘 알고 있습니다. 그런부분이 아닌 시험에 자주 나오는 부분을 정독해보려고 합니다.


1. 주어가 두개가 연결될 경우의 수일치


(1) both A and B 


both라는 뜻은 둘 다 라는 뜻입니다. 그래서 and로 연결해줘서 A와B 모두를 뜻하여 무조건 복수 취급을 해줍니다. 그런데 both가 없이 and만 이쓸 경우에도 복수를 취급할까요? 예시를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.


ex) Currry and rice are a staple food for Indians 라는 예문이 있습니다. both A and B는 무조건 복수 취급을 해주었는데 여기서는 단수 취급을 해줍니다. 그래서 are 부분을 is로 바꾸어 주어야합니다. 그 이유는 Curry and rice가 '카레라이스'라는 뜻으로 쓰이기 때문에 단수로 취급해줍니다. 

하지만 헷갈릴 수 있는 부분이므로 문제를 내기에 약간 민감한 부분이 있으니 이런부분이 있다는 참고를 해두시면 좋을거 같습니다. 무조건 and로 연결된다해서 복수가 아닐 수 있다는 부분 기억해두시길 바랍니다.


(2) either A or B 


Either의 뜻이 어느 하나라는 뜻입니다. or이 함께 쓰여 A와 B 둘 중 하나라는 뜻으로 쓰입니다. 주어로 왔을 때 주어가 두개니깐 복수취급 해준다고 착각할 수 있지만 아닙니다. 그렇다고 단수를 취급하는가? 그것도 아닙니다. 주어의 수일치는 B에 맞춰줍니다.

ex) He or i 동사 expeceted to help her. 여기서 와야할 동사는 B에 맞춰준다고 했고 현재라고 한다면 AM이 와야합니다. 따라서 B자리에 복수가 오든 단수가 오든 상관없이 B에만 수일치를 해주면 정복할 수 있습니다.


(3) B as well as A  


as well as 는 A뿐만 아니라 B도 라는 뜻입니다. 이것 역시 주어로 올 때 동사에 복수가 온다고 착각할 수 있지만 이번에도 주어를 B에 맞춰줍니다.

보시면 아시겠지만 (2)와 (3)은 대칭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. (2) 부분은 OR 뒤에 주어를 수일치 해주고 반대로 AS well AS 부분은 그 앞에 부분에 수일치를 해줍니다. 


(4) every, neither, each의 수일치 


먼저 이 세가지 단어들은 각각의 역할들이 있습니다. 비교를 세가지로 할 수 있는데 첫번째는 수식, 두번째는 단독으로 쓸 수 있는지의 여부 세번째는 of가 왔을 때입니다. 


첫번째 every- every는 형용사로 단수만 수식할 수 있습니다.(everyone, everything 등등) 

두번째 단독으로 사용을 못 합니다. 형용사로만 쓰이기 때문입니다. 

세번째 뒤에 of를 사용하지 못합니다. 

every 같은 경우는 매우 한정적으로만 쓰인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

neihter은 every보다 더 넓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 


첫번째 단,복수 모두 수식 가능합니다. 

두번째 단독으로 쓰일 수 있는 명사로 사용이 됩니다. 이때 단수로 취급해줍니다.

세번째 뒤에 of를 쓸 수 있는데 둘 중 어느것도 아닌 이라는 뜻으로 쓰이기 때문에 two books와 같이 두개가 있을 경우에만 사용합니다.


마지막으로 each입니다. each는 다방면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첫번째 단,복수 모두 수식 가능합니다.

두번째 단독으로 쓰일 수 있는 명사로 쓸 수 있고 이때 neither와 마찬가지로 단수로 취급해줍니다.

마지막으로 of를 쓸 수 있는데 neither 과 다르게 복수명사를 모두 받을 수 있습니다.


(5)분수, 퍼센트의 수일치


One of the students 혹은 some of the books , 50percent of water 등등이 올 경우 수일치에 대한 방법에 대해 써보겠습니다. 먼저 one of 같은 경우는 분수, 퍼센트라기 보다는 비교하기 위해서 언급했는데 다들 많이 들어봤을 one of the 복수명사 + 단수동사로 복수명사중에 하나라고 알고 계실것입니다. 그럼 나머지도 그럴까요? 부분을 나타내는 명사들은 of 뒤의 명사들로 결정됩니다. 예를 들어 50 percent of water 라고 했을 때 앞에 50이 있어서 복수인가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of 뒤에 water인 단수가 왔기 때문에 단수로 취급해줍니다. 마찬가지로 some of ther books 역시 of 뒤에 복수명사가 왔기 때문에 복수로 취급해줍니다.